TOP
시작페이지로
즐겨찾기추가
서울
°C
서울
인천
대전
대구
광주
부산
제주
강릉
강진군
강화
거제
거창
경주시
고산
고창
고창군
고흥
광양시
구미
군산
금산
김해시
남원
남해
대관령
동두천
동해
목포
문경
밀양
백령도
보령
보성군
보은
봉화
부안
부여
북강릉
북창원
북춘천
산청
상주
서귀포
서산
성산
속초
수원
순창군
순천
안동
양산시
양평
여수
영광군
영덕
영월
영주
영천
완도
울릉도
울산
울진
원주
의령군
의성
이천
인제
임실
장수
장흥
전주
정선군
정읍
제천
진도
진도군
진주
창원
천안
철원
청송군
청주
추풍령
춘천
충주
태백
통영
파주
포항
함양군
합천
해남
홍성
홍천
흑산도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찾기
비밀번호찾기
0
잡곡
,
야생화
,
다육
,
마늘
,
감자
,
콩
,
쌀
221
0
문화 숲
전원생활
차문화
건강365
식생활과 건강
생활의팁
술/떡문화
특산막걸리
약용주
숙취정보
떡
떡
한과류
식물 숲
산채/약용식물
관엽식물
다육식물
농식물
난
유실/조경수
수생. 습지식물
공기정화식물
News 숲
뉴스
자연&사람
베란다 가꾸기
멀티미디어
식물의 효능
음식 숲
요리레시피
한식
양식
중식
일식
김치
쌀&잡곡 레시피
음식뉴스
사는이야기 숲
세대별이야기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이상
행복한 동행
사람속으로
고전향기
오늘의명언
쇼핑Mall
학교급식
친환경 잡곡
친환경 야채
친환경 과일
가공식품
소포장매장
양념 건나물
체험/텃밭 숲
체험학습
탓밭가꾸기
분재/식물가꾸기
이벤트일정
정모안내
이벤트
행사안내
도깨비시장 숲
농가공품
쌀&잡곡
야채&건채소
중고 사고팔고
고객센터
공지사항
자주하는질문
질문과답변
광고문의
결제관련
회원정보관련
인기자료실
구인구직
채용정보
인재정보
알바정보
소포장마켓
쌀
잡곡
채소
건채소
공동구매
전원생활
차문화
건강365
식생활과 건강
생활의팁
술/떡문화
산채/약용식물
관엽식물
다육식물
농식물
난
유실/조경수
수생. 습지식물
공기정화식물
뉴스
자연&사람
베란다 가꾸기
멀티미디어
식물의 효능
요리레시피
쌀&잡곡 레시피
음식뉴스
세대별이야기
행복한 동행
사람속으로
고전향기
오늘의명언
학교급식
친환경 잡곡
친환경 야채
친환경 과일
가공식품
소포장매장
양념 건나물
체험학습
탓밭가꾸기
분재/식물가꾸기
이벤트일정
농가공품
쌀&잡곡
야채&건채소
중고 사고팔고
공지사항
자주하는질문
질문과답변
광고문의
결제관련
회원정보관련
인기자료실
채용정보
인재정보
알바정보
123
3,049,687
자연먹거리
식물 숲
유실/조경수
서로의 생각을 말하다! 열린 커뮤니티 세상!
가장많이 본 소식
자주달개비와 벌...
자주달개비와 벌...
넉줄고사리, 고양...
완두콩 피는 시절...
큰꿩의비름
까치수염.까치수...
나주서 100년 만...
수, 하오르티아 ...
평점
0.0
고추는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
풋고추는 다른 채소보다 많은 당질과 비타민을 골고루 함유하고 있으며, 칼슘 등의 미량성분과 유기산도 많...
by.
2020-08-18
0
125
평점
0.0
고구마는 비타민의 보고요 알...
고구마는 수분 66.3%, 탄수화물 31.2%, 단백질 1.4%로 전분이 주성분이다. 알칼리성 식품으로 칼륨, 칼슘, ...
by.
2020-08-18
0
125
평점
0.0
미나리는 숙취해소에 좋은 우...
미나리는 우리 민족에게 봄의 향긋함을 전해주는 정겹고 소박한 채소의 하나이다. 생선탕의 비릿한 맛을 잡...
by.
2020-08-18
0
141
무늬산머루
평균
0.0
무늬산머루 낙엽활엽, 덩굴성 식물로 전국 산야의 표고 100-1,650m에서 자란다 사진=이숲메거진 오인교 촬영장소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 영암도기박물관 내 영암들녘회 영암왕인박사문축제 기간 ...
흑동백
평균
0.0
흑동백, 일반 동백과 달이 꽃잎이 다소 검붉은 색을 띄우고 있어 이름했으먀 단아한 줄기의 수형이 아름다워 관상용 분재용으로 재배하고 있다. 사진-오인교...
너도부추(아르메리아)
평균
0.0
너도부추(아르메리아) 초본류 사진=이숲메거진 오인교 촬영장소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 영암도기박물관 내 영암들녘회 영암왕인박사문축제 기간 16회 야생화 전시회...
동의나물
평균
0.0
동의나물 제주를 제외한 전도에 나며 동시베리아, 아무르, 우수리, 만주, 중국, 일본, 캄차카에 분포한다.다년초로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습지나 물가에서 자란다. 높이 60cm 내외로 근생엽은 모여 나며 신원형...
피토니아
평균
0.0
피토니아(Mosaic Plant), 쥐꼬리망초과로 원산지는 남아메리카이다. 원산지는 남아메리카로 열대지역이지만, 피토니아는 그늘이 지고 배수가 잘 되는 곳에서 잘 자란다. 피토니아의 종류에는 피토니아 베르샤펠...
시클라멘(Cyclamen persicum)
평균
0.0
시클라멘(Cyclamen persicum), 잎은 하트모양의 진한 녹색이며, 무성한 잎 사이로 솟아올라 피는 꽃이 매우 아름답다. 앵초과에 속하는 덩이줄기(塊莖)의 다년생 구근식물이다. 시클라멘은 원래 시클라멘속의 식...
공조팝나무
평균
0.0
참조팝나무, 꽃이 둥근 형태로 모여 핀다. 약간 덩굴성을 보이는 덤불조팝나무, 핑크빛 꼬리 모양의 꽃차례를 가진 꼬리조팝나무 등이 있다. 꼬리조팝나무나 공조팝나무 등은 꽃 모양이 좋아 꽃꽂이 소재인 절...
무늬 꽃댕강나무
평균
0.0
, 댕강나무의 일종으로 무늬가 아름다워 분재용으로 많이 기르고 있다. 꽃댕강나무는 한반도(중부 이남) 중국산 댕강나무 사이에서 원예종으로 잡종육성된 중간 잡종이며, 1930년경 일본으로부터 도입되었다. ...
애니시다
평균
0.0
애니시다,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소관목로 양골담초, 금작화(金雀花)라고도 하며, 유럽 남부가 원산지이다. 가지는 가늘며 녹색이고 모가 난 줄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3개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이다. ...
알리숨
평균
0.0
알리숨(sweet alyssum) 알리숨이라고 부르며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겨자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원산지 지중해 연안이고 높이는 10∼20cm이고 땅 위을 기어가듯이 퍼진다. 잎은 폭이 좁고 회...
애기똥풀
평균
0.0
애기똥풀, 늦은 봄부터 늦여름까지 마을 주변의 길가나 풀밭에서 노란 꽃을 피우는 흔한 꽃이다. 애기똥풀이라고 불리는 것은 가지나 잎은 꺾으면 노란 즙이 나오며 이 색이 애기똥색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
호주매화
평균
0.0
호주매화, 도금앙과식물로 우리나라 매화나무와 전혀 상관없지만 꽃이 매화꽃을 닮아 국내명이 호주매, 호주매화로 불러지고 있다. 관목형 꽃보기식물로 도금양과이며 원산지는 호주, 뉴질랜드다. 생장높이 50c...
갯모밀
평균
0.0
메밀어뀌, 갯모밀이라고 부르며 박은 토끼풀꽃 같이 생겼다.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형태의 꽃으로 여뀌 - 개여뀌 - 털여뀌 - 흰꽃여뀌 -이삭여뀌- 고마리 - 미꾸리낚시 등이 있다. 사진=오인교...
무늬접란
평균
0.0
무늬접란(spider plant), 학명은 Chlorophytum comosum var. variegatum이고 백합과다. 남아프리카 가 원산지로 지피식물로 실내정원이나 식물인테리어에 적합하다. 잎보기식물로 풀모양은 로제트형이다. ...
개소시랑개비 큰양지꽃
평균
0.0
개소시랑개비 큰양지꽃 장미과 로 햇볕이 잘 들며 거름기가 충분한 점질의 토양에서 잘 자란다. 번식은 씨앗 뿌리기나 포복줄기 나누기 두 가지 다 잘 된다. 봄에 씨앗을 뿌리면 일부는 가을에 꽃이 핀다. 어...
란타나
평균
0.0
란타나(Lantana) ‘만곡하다’ 또는 ‘맺다’의 뜻으로 옛 식물명인 유럽산 Viburnum lantana의 화서(花序)와 비슷한 데서 유래.높이 0.3~2m 정도 자라는 소관목이다. 잎의 길이는 2.5~3c...
푸미라 그린 써니
평균
0.0
푸미라 그린 써니, 잎이 독특한 넝쿨성식물로 많이 선호하고 있다. 고무나무류에 속해 잎에서 진이 나온다. 페페로미아, 호야 등과 같이 키 낮은 식물로 헤고나 석부작 실내정원을 구성할 때 좋은 소재가 되...
옥살리스, 사랑초
평균
0.0
옥살리스 (red leaf oxalis), 사랑초라고 부른다. 잎이 사람의 심장을 닮았다고해서 우리나라에서는 "사랑초"라고 부르며 이에 걸맞게 꽃말은 '당신을 버리지 않을께요'이다. 꽃은 보라색, 분홍...
물봉선
평균
0.0
물봉선 불봉숭, 봉선화과 (Balsaminaceae)로 한해살이풀로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연해주 등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 전국 각처 산지의 습지에서 자란다. 부식질이 많은 점질토나 사질양토에서 잘 자란다....
싸리
평균
0.0
싸리속에는 42종이 잇으며 개싸리 개파리채 검나무싸리 고양싸리 괭이싸리 긴괭이싸리 긴잎참싸리 꽃비수리 꽃참싸리 넌출비수리 눈해변싸리 늦싸리 땅괭이싸리 땅비수리 부채싸리 분홍싸리 비수리 삼색싸리 선녀싸...
어수리
평균
0.0
, 다년초로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무등산), 전북(덕유산, 백양산), 충남(계룡산), 강원(치악산, 오대산), 경기(광릉), 황해, 평남, 평북, 함남, 함북에 야생한다. 꽃은 백색으로 7~8월에 피며 ...
아레카야자
평균
0.0
아레카야자는 미우주항공국(NASA)에서 관엽식물로, 미우주항공국(NASA)에서 실내에 포름알데히드 제거효율이 가장 높은 식물로 선정하였으며, 또한 식물이 갖는 싱싱함과 잎의 곡선과 직선이 매우 조화롭고 아름다워...
캄파눌라
평균
0.0
캄파눌라 높이 0.8∼1m 정도로 직립하여 자라고 2년초로 취급된다. 줄기는 굵고 털이 조밀하게 나 있다. 1주에서 여러대가 나와 자라고 가지는 피라밋형으로 분지된다. 잎은 난상 피침형이고 길이는 2.5㎝이...
피닉스야자
평균
0.0
피닉스야자(Dwarf date palm), 원래 열대우림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울창한 숲 아래에서 자라기 때문에 광이 적은 곳, 가정이나 사무실의 따뜻한 실내에서 잘 자라는 특성이 있다. 키가 1.5~2m까지 자라는 식물...
꽃향유
평균
0.0
꽃향유, 붉은향유라고도 부르며 다년초, 관화식물, 방향성 식물이다. 한국, 만주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와 남부, 중부 산야에 자생한다. 잎은 대생하고 난형이며 예두 예저이고 엽병으로 흐르며 길이...
메꽃
평균
0.0
메꽃 덩굴성 다년초로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잎은 엽병이 길며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꽃은 엷은 홍색으로 6-8월에 피고 엽액에 1개씩 달리며 화경이 길고 그 끝에 큰 꽃이 핀다. 꽃...
때죽나무
평균
0.0
때죽나무, 쪽동백나무 정나무,물박달나무,산아주까리나무,개동백나무,때죽나무,녹촉낭(제주) 등으로 부른다. 낙엽활엽소교목 일본과 중국, 만주에도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전국 산지의 표고 100~1,800m 수림...
다정큼나무
평균
0.0
다정큼나무는 상록활엽성관목으로 일본, 대만에도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에서는 표고 700m에서, 남해 도서지방에서는 해안변에 야생한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가지 끝에서 모여나기하고 긴 타원형이며...
고려사자
평균
0.0
마로니에
평균
0.0
마로니에 너도밤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 밤나무의 별종. 습윤지를 한다. 큰 손바닥 모양의 잎과 흰(적색, 황색)색의 꽃이 피며 공원이나 가로 등 넓은 공간에 많이 심는다. 사진=오인교...
나무수국
평균
0.0
나무수국, 일본이 원산지이고 관상용으로 정원에 심는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꽃이 중성화뿐인 것을 큰나무수국(for. grandiflora)이라고 한다. 낙엽 관목으로 높이는 2∼3m이다. 잎은 마...
울레미소나무(Wollemia nobilis)
평균
0.0
울레미소나무(Wollemia nobilis)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침엽수 중 하나로 공룡이 먹던 소나무다. 사진 오인교 * 전남 순천시 국가정원1호길 47 오천동 600 순천만국가정원...
1
2
3
4
5
6
-지역선택-
서울
신도시
경기도
인천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강원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제주도
세종시
제목
내용
글쓴이
CATEGORY
산채/약용식물
221
관엽식물
219
다육식물
423
농식물
58
난
19
유실/조경수
222
수생. 습지식물
68
공기정화식물
86
[세대.]
이항복님의 '위태한 때에 ...
by. 관리자..
|
426일 18시간 44분 4초전
[고전.]
좋을 글 잘 읽었습니다. ...
by. 관리자..
|
426일 18시간 45분 48초전
[산채.]
잘봤습니다.
by. 관리자..
|
739일 14시간 7분 2초전
광주시, 2019년 직업교육...
“올해 약용작물 종자 신...
전남도, '토양개량제 지원...
광주 서구, 도심속 문화예...
2019년 농업과 기업 간 연...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