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시작페이지로
즐겨찾기추가
서울
°C
서울
인천
대전
대구
광주
부산
제주
강릉
강진군
강화
거제
거창
경주시
고산
고창
고창군
고흥
광양시
구미
군산
금산
김해시
남원
남해
대관령
동두천
동해
목포
문경
밀양
백령도
보령
보성군
보은
봉화
부안
부여
북강릉
북창원
북춘천
산청
상주
서귀포
서산
성산
속초
수원
순창군
순천
안동
양산시
양평
여수
영광군
영덕
영월
영주
영천
완도
울릉도
울산
울진
원주
의령군
의성
이천
인제
임실
장수
장흥
전주
정선군
정읍
제천
진도
진도군
진주
창원
천안
철원
청송군
청주
추풍령
춘천
충주
태백
통영
파주
포항
함양군
합천
해남
홍성
홍천
흑산도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찾기
비밀번호찾기
0
버섯
,
급식
,
다육
,
마늘
,
쌀
,
야생화
,
감자
221
0
문화 숲
전원생활
차문화
건강365
식생활과 건강
생활의팁
술/떡문화
특산막걸리
약용주
숙취정보
떡
떡
한과류
식물 숲
산채/약용식물
관엽식물
다육식물
농식물
난
유실/조경수
수생. 습지식물
공기정화식물
News 숲
뉴스
자연&사람
베란다 가꾸기
멀티미디어
식물의 효능
음식 숲
요리레시피
한식
양식
중식
일식
김치
쌀&잡곡 레시피
음식뉴스
사는이야기 숲
세대별이야기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이상
행복한 동행
사람속으로
고전향기
오늘의명언
쇼핑Mall
체험/텃밭 숲
도깨비시장 숲
고객센터
구인구직
소포장마켓
전원생활
차문화
건강365
식생활과 건강
생활의팁
술/떡문화
산채/약용식물
관엽식물
다육식물
농식물
난
유실/조경수
수생. 습지식물
공기정화식물
뉴스
자연&사람
베란다 가꾸기
멀티미디어
식물의 효능
요리레시피
쌀&잡곡 레시피
음식뉴스
세대별이야기
행복한 동행
사람속으로
고전향기
오늘의명언
학교급식
친환경 잡곡
친환경 야채
친환경 과일
가공식품
소포장매장
양념 건나물
체험학습
탓밭가꾸기
분재/식물가꾸기
이벤트일정
농가공품
쌀&잡곡
야채&건채소
중고 사고팔고
공지사항
자주하는질문
질문과답변
광고문의
결제관련
회원정보관련
인기자료실
채용정보
인재정보
알바정보
355
3,045,904
자연먹거리
식물 숲
농식물
서로의 생각을 말하다! 열린 커뮤니티 세상!
가장많이 본 소식
자주달개비와 벌...
자주달개비와 벌...
넉줄고사리, 고양...
완두콩 피는 시절...
큰꿩의비름
까치수염.까치수...
나주서 100년 만...
수, 하오르티아 ...
평점
0.0
고추는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
풋고추는 다른 채소보다 많은 당질과 비타민을 골고루 함유하고 있으며, 칼슘 등의 미량성분과 유기산도 많...
by.
2020-08-18
0
125
평점
0.0
고구마는 비타민의 보고요 알...
고구마는 수분 66.3%, 탄수화물 31.2%, 단백질 1.4%로 전분이 주성분이다. 알칼리성 식품으로 칼륨, 칼슘, ...
by.
2020-08-18
0
125
평점
0.0
미나리는 숙취해소에 좋은 우...
미나리는 우리 민족에게 봄의 향긋함을 전해주는 정겹고 소박한 채소의 하나이다. 생선탕의 비릿한 맛을 잡...
by.
2020-08-18
0
141
감자꽃
평균
0.0
감자는 마령서(馬鈴薯)·하지감자·북감저(北甘藷)라고도 하는데 예전에는 곤궁한 백성들의 중요한 식량이었다. 그리고 그냥 감저(甘藷)는 고구마를 말하며 해사일기(海槎日記)에 감저(甘藷 고구...
흰가지꽃
평균
0.0
가지(Eggplant), 온대에서는 한해살이풀이나 열대에서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6∼9월에 피는데, 줄기와 가지의 마디 사이에서 꽃대가 나와 여러 송이의 연보라색 꽃이 달리며 꽃받침 자줏빛이다.많은 원...
깨꽃
평균
0.0
참깨(Sesame)는 예로부터 시골에서 많이 재배했던 우리 전통작물 중의 하나다. 꽃말은 기대이다. 참깨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겐 꼭 필요한 양념으로 절대 없어서는 안될 작물로 참깨나 들깨는 전형적인 한해살이풀이...
금귤(金橘)나무
평균
0.0
금귤(金橘), 귤속에 속하는 운향과에 속하는 상록 관목로 그 열매의 총칭을 이른다. 금감이라는 귤의 일종으로 금귤나무에서 열리며 원산지는 중국으로 광동어 깜꽛(金橘, gam gwat)에서 비롯됐으며, 흔히들 일...
채소 비타민
평균
0.0
채소 비타민. 십자화과의 채소 비타민은 이름 그대로 비타민이 풍부하게 들어 있는 채소다. 다채라고도 불리며, 비타민의 함량이 높아 붙여진 이름이다. 양배추와 순무를 교배시켜 만든 채소로 숟가락처럼 생...
당근꽃
평균
0.0
당근은 미나리과의 두해살이풀 아프가니스탄이 원산지로 한국에서는 16세기부터 재배하기 시작해 생각보다는 길게 우리네 먹거리를 차지하고 있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고,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
고추는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권장
평균
0.0
풋고추는 다른 채소보다 많은 당질과 비타민을 골고루 함유하고 있으며, 칼슘 등의 미량성분과 유기산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고추의 매운 맛을 내는 성분은 태좌(씨가 붙는 부위)에 주로 있는(과피에도 일부 있다...
고구마는 비타민의 보고요 알칼리성 식품
평균
0.0
고구마는 수분 66.3%, 탄수화물 31.2%, 단백질 1.4%로 전분이 주성분이다. 알칼리성 식품으로 칼륨, 칼슘, 인을 비롯해 비타민 A, B1, B2, C, E 등이 고루 함유되어 비타민의 보고라 할 수 있는 대표적인 알칼리성 ...
미나리는 숙취해소에 좋은 우리 민속채소
평균
0.0
미나리는 우리 민족에게 봄의 향긋함을 전해주는 정겹고 소박한 채소의 하나이다. 생선탕의 비릿한 맛을 잡고 풍미를 돋우기 위해 반드시 들어가는 미나리는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고 있다. 당 근이나 셀러리와...
‘파파야’ 익으면 과일, 덜 익으면 몸에 좋은 채소...채소로 먹으면 완숙...
평균
0.0
중앙아메리카가 원산인 파파야는 외국인 근로자나 결혼 이민자들에게 ‘에스닉 푸드’(Ethnic food)로 인기 있는 아열대 작물이다. 아열대 지역에서는 파파야를 덜 익은 상태인 채소로 즐겨 먹지만 우...
우리는 감자를 언제부터 먹었을까?
평균
0.0
감자는 1570년경 스페인 사람들을 통해서 유럽에 소개되었는데 이는 유럽인들이 감자를 처음 본 뒤로부터 무려 30년이 지나서였다. 그리고 3년 후 감자는 세비야 병원 환자들에게 급식됨으로써 유럽에서의 첫발을 내...
감자의 기원
평균
0.0
감자의 기원 남아메리카 안데스산맥 중부 고원지대에서 많은 종류의 야생종 감자가 분포하는 것으로 볼 때 이 지역이 감자의 원산지로 알려지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1만 3천 년 전부터 칠레 해안을 따라 자라는 ...
매운맛이 자극적인 홍고추
평균
0.0
다 익어서 빨갛게 된 홍고추는 제철이 따로 없는 채소다. 말려서 고춧가루로 만들면 김치부터 고추장까지 다양한 요리에 활용할 수 있다. 홍고추 속 캡사이신은 체내 지방을 분해하고 엔도르핀 분비를 촉진해 ...
오디
평균
0.0
사진=오인교
석류
평균
0.0
석류꽃(Pomegranate Flower)은 양성화이며 6월에 홍색으로 핀다. 석류꽃의 꽃말은 '우아'이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이 6∼8㎝로서 9∼10월에 황색 또는 황홍색으로 익는다. 안에는 붉은색의 종자가...
선인들의 술밑 만드는 법
평균
0.0
산림경제 제2권 / 치선(治膳) 술빚기[釀酒] 술밑 만드는 법[作酒腐本法]은, 멥쌀 1말을 깨끗이 씻어 겨울에는 10일, 봄ㆍ가을에는 5일, 여름에는 3일 동안 물에 담가, 쌀알 속속들이 불려, 건져서 폭 찐다. 여기에...
율무薏苡
평균
0.0
율무(薏苡) 의이인(薏苡仁)이라고 부른다. 그래서 율무로 만든 술을 의이주(薏苡酒)라고 한다. 한의학에서 의이인은 건비이습(健脾利濕), 청열배농(清熱排膿)의 효능이 있다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율무...
참깨
평균
0.0
참깨(Sesame)는 예로부터 시골에서 많이 재배했던 우리 전통작물 중의 하나다. 꽃말은 기대이다. 참깨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겐 꼭 필요한 양념으로 절대 없어서는 안될 작물로 참깨나 들깨는 전형적인 한해살이풀이...
도라지
평균
0.0
깊지 않은 산야에서 흔히 볼수 있고 깊은 계곡보다는 햇볕이 다소 드는 곳에서 잘 자라는 우리에게 친근한 식물이다. 관상용보다 뿌리를 채소나 약용(길경)으로 쓰기 위해 많이 재배한다. 꽃은 6-8월에 흰색이나...
복숭아나무
평균
0.0
사진=이숲메거진 촬영장소 : 광주광역시 서구 화운로 93 광주광역시교육청 내 본관 앞 정원
열무꽃 무우꽃
평균
0.0
열무(young radish) 십자화과 무속의 근채류 채소로서 '어린 무'를 말한다.잎이 연하고 맛이 있어서 뿌리인 무 부분보다는 잎을 주로 이용한다. 잎은 열량이 적고 섬유질이 풍부한 알칼리성 식품으로 ...
벼꽃
평균
0.0
멀꿀
평균
0.0
멀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으름덩굴과의 상록 덩굴식물로 한국·일본·타이완·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원줄기는 5m 정도 뻗어가고 잎은 어긋나며 5∼7개의 작은잎으로 된 손바닥모...
파
평균
0.0
조선 중기의 문신 옥담(玉潭) 이응희(李應禧 1579 선조 12∼1651 효종 2)이 파[葱]에 대해 읊은 시다. 그의 시집 옥담사집 만물편(萬物篇) 소채류(蔬菜類)편에 실려있다. 파[葱] 저 남쪽 밭의 채소를 보니 /...
채소의 종류
평균
0.0
채소의 종류 채소는 건강과 씹고 먹는 즐거움을 위한 먹을 거리부식으로 우리의 식탁을 풍요롭게 하는 식물들이다. 우리가 먹을 수 있는 초본류는 모두 채소로 포함할 수 있으므로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전세...
귀리
평균
0.0
귀리, Gramineae(벼과) 1년생 초본으로로 개항이후~1921년 사이에 귀한 식물이다. 원산지는 유라시아로 60~100cm 정도자란다. 중부, 남부, 울릉도, 제주도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줄기는 중공(中空)이다....
토란(土卵)
평균
0.0
천남성과(天南星科)의 다년초(多年草). 추석 등의 명절에 먹는 전통음식 중 하나로, 남쪽 지방에서 많이 재배됨. 전통 민화(民畵)나 문양(紋樣)에서 무병장수(無病長壽)를 상징했다. 중국의 민산(岷山) 밑에서는...
호박
평균
0.0
호박(Cucurbita moschata), 박과로 남과(南瓜) 남과자(南果子) 남과자(南瓜子)라고도 한다. 남과수(南瓜鬚)라고 부른다. 일년생 덩굴식물로 널리 재배하고 있으며 덩굴은 단면이 오각형이고 연모가 있으며 ...
포도
평균
0.0
포도 아시아 서부 원산; 중남부 지방에서 식재.낙엽 활엽 덩굴성. 전포 및 밭에서 재배한다. 길이 3m 내외. 잎은 어긋나기하며 원형이고 3 ~ 5갈래로 얕게 갈라지며 각 열편은 심장저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
방을토마토
평균
0.0
방울토마토, 최근 아파트 베란다에서 관상용으로 키우는 사람들이 많다. 즉 방울토마토 묘를 4월 하순경에 시장에서 사다가 베란다에 두고 물만 잘 주면 5월초부터 아래쪽 마디에서 피는 꽃을 볼 수 있고 7월초부터...
포도
평균
0.0
포도 한국특산종(Endemic Species)으로 국립수목원에서는 이렇게 정리하고 있다. 갈매나무과: 좀갈매나무 거머리말과: 좀마디거머리말 고사리삼과: 제주고사리삼 곡정초과: 제주검정곡정초, 넓...
갓. 신채(辛菜)
평균
0.0
갓. 신채(辛菜) 한자로 개채(芥菜) 또는 신채(辛菜)라고도 한다. 중국에서는 BC 12세기 주(周)나라 때 이 종자를 향신료로 사용하였다고 하며, 한국에서도 중국에서 들여온 채소류로 널리 재배한다. 높이가 1m...
시금치
평균
0.0
시금치, 식용채소로 재배하는데 높이 약 50cm까지 자라고, 뿌리는 육질이고 연한 붉은색이며 굵고 길다. 밑동의 잎은 긴 삼각 모양이거나 달걀 모양이고 잎자루는 위로 갈수록 점차 짧아진다. 뿌리에 달린 어린 ...
가지
평균
0.0
가지(Eggplant), 온대에서는 한해살이풀이나 열대에서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인도 원산이며, 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재배한다.높이는 60∼100cm로, 식물 전체에 별 모양의 회색털이 나고 가시가 나기도 한다. ...
당근꽃
평균
0.0
당근은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두해살이풀 아프가니스탄이 원산지로 한국에서는 16세기부터 재배하기 시작해 생각보다 길게 우리네 먹거리를 차지하고 있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고, 줄기 끝...
유채(油菜 Rape)
평균
0.0
유채는 겨자과에 속하는 식물로 밭에서 재배하는 두해살이풀로 ‘평지’라고도 한다.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므로 9월 이후에 파종하고 월동 후 유채의 잎이 자라는 3월에 수확해 김치를 담거나, 쌈으로...
1
2
제목
내용
글쓴이
CATEGORY
산채/약용식물
221
관엽식물
219
다육식물
423
농식물
58
난
19
유실/조경수
222
수생. 습지식물
68
공기정화식물
86
[세대.]
이항복님의 '위태한 때에 ...
by. 관리자..
|
426일 2시간 전
[고전.]
좋을 글 잘 읽었습니다. ...
by. 관리자..
|
426일 2시간 1분 44초전
[산채.]
잘봤습니다.
by. 관리자..
|
738일 21시간 22분 58초전
광주시, 2019년 직업교육...
“올해 약용작물 종자 신...
전남도, '토양개량제 지원...
광주 서구, 도심속 문화예...
2019년 농업과 기업 간 연...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