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봄철 나른한 입맛을 잡아주고 건강도 책임지며 요리해 먹기에도 편한 약초로 땅두릅순, 갯기름나물, 도라지, 더덕 4종을 추천했다.

4종 모두 봄철 시중에서 구하기 쉽고 식품으로도 이용하기 좋은 약초다.
땅두릅순과 갯기름나물은 살짝 데쳐 먹으면 감칠맛이 나면서 향긋한 향이 입맛 가득 퍼진다. 먹기 좋은 크기로 잘라준 뒤 튀김반죽을 하여 기름에 튀겨 먹어도 좋다.
땅두릅 뿌리는 신경쇠약, 당뇨병 등을 치료하는 약재로 쓰이는데 최근에는 어린잎이 향과 맛이 좋아 식품으로 각광 받고 있다. 무기질, 아스파라긴산 등이 많이 들어있어 영양가가 풍부하다.
갯기름나물은 식방풍, 방풍나물로 불리며 두통, 해열, 신경통 등을 치료하는데 쓰인다. 어린잎은 무기질이 풍부하며 향과 맛이 좋아 주로 쌈 채소나 나물 등으로 이용된다.
도라지와 더덕은 무침으로 해먹는다면 봄철 입맛을 돋우는 데 그만이다. 특유의 쓰고 텁텁한 맛 때문에 먹기가 꺼려진다면 강정이나 튀김으로 만들어 보자. 아이들도 좋아한다.
도라지와 더덕은 사포닌 성분이 많아 기관지 점액 분비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야외활동 시 흡입되는 각종 오염 물질 배출에 도움이 된다.
쓴맛을 없애기 위해 먼저 소금물에 10분 이상 담가 놓은 뒤 문질러 씻은 후 튀김옷 재료를 넣어 섞어 바싹하게 튀기면 된다. 물엿, 고추장, 고춧가루, 다진 마늘, 케첩을 끓여 소스를 만들어 튀긴 도라지와 더덕에 버물리면 강정으로 변신한다.
농촌진흥청 약용작물과 정진태 농업연구사는 “새학기가 시작되는 3월은 새로운 환경이나 단체 생활 등으로 인해 아이들이 스트레스를 받고 면역력이 약해지는 시기이므로 토종약초를 통해 맛과 영양을 챙겨보길 권한다.”라고 전했다.

산림경제 제2권 / 치선(治膳) 음식의 금기사항[食忌]
죽 먹은 뒤에 끓는 맹물을 먹으면 폐병이 생긴다. 《고사촬요》
구리 그릇에 담은 뜨거운 음식을 먹다가 그 속에 떨어뜨린 땀방울을 먹게되면 사람이 죽는다. 《고사촬요》
《의방(醫方)》에 ‘일식이나 월식이 미처 끝나기 전에 마시거나 먹는 것을 꺼린다.’ 하였고, 또 대체로 ‘사람들의 치통(齒痛)이 흔히 월식한 밤에 음식 먹은 탓으로 생긴다.’ 하였다. 《지봉유설》
열병(熱病)을 치른 끝에 순채(蓴菜)를 먹으면 죽는다. 《문견방》
꿀은 파와 와거[萵苣 상추]를 꺼린다. 《증류본초》
누런 게장[蟹黃]을 파ㆍ부추ㆍ꿀과 같이 먹으면 사람이 죽게 되고, 또 볶은 파와 꿀을 같이 먹으면 사람의 숨을 재촉하여 반드시 사람을 죽게 한다. 《문견방》
메밀[木麥]을 돼지고기와 같이 먹으면 열풍(熱風)이 나서 머리털이 빠진다. 《고사촬요》
과일 먹을 때의 금기[食果忌]는, 복숭아나 살구 씨 둘 있는 것은 독(毒)이 있으니 먹지 말라. 《고사촬요》
복숭아를 먹은 뒤에 멱을 감으면 임질(淋疾)이 생긴다. 《고사촬요》
땅에 떨어진 과일이 밤을 지나 벌레나 개미가 꾄 것은 먹지 말라. 《고사촬요》
9월에 서리 맞은 오이를 먹지 말아야 한다. 이것을 먹으면 사람의 위가 뒤집히는 병이 생기게 된다. 《고사촬요》
아기 가진 여자가 매실ㆍ오얏ㆍ미지(糜脂)를 먹으면 어린애 이가 파랗게 된다. 《고사촬요》
홍시를 술과 같이 먹으면 안 된다. 《지봉유설》
감이나 배를 게[蟹]와 같이 먹으면 안 된다. 《지봉유설》
못 먹는 버섯[食菌忌]은, 털이 있는 것, 아래 무늬가 없는 것, 밤에 빛이 나는 것, 삶아도 익지 않는 것, 썩어 문드러지려는데도 벌레가 안 먹는 것, 다 삶은 뒤 사람을 비쳐 보아 그림자가 지지 않는 것, 봄이나 여름에 해롭고 나쁜 벌레나 독사가 지나간 것들은 다 사람을 죽게 한다. 《고사촬요》
빛이 붉고 바짝 쳐든 채 엎어지지 않는 것, 들이나 밭 가운데 나는 것은 모두 독버섯이다. 《고사촬요》
독버섯을 잘못 먹은 사람은, 간혹 웃음을 그치지 못하다가 죽으니, 오직 땅에 구덩이를 파고 물을 부었다가 맑은 물을 떠 마시면 된다. 《고사촬요》
버섯을 먹고 중독이 되었을 때는, 바로 참기름을 마시면 된다. 증세의 경중(輕重)을 보아 생각대로 기름의 양을 가감한다. 《고사촬요》
버섯 독을 고치려면, 박 속을 살라 그 재를 물에 타서 마시면 아주 잘 낫는다. 《고사촬요》
생선 먹을 때의 금기[食魚忌]는, 생선이 창자도 쓸개도 없고, 두골[魫]도 없는 것은 먹지 말라. 3년 동안 남자는 양기 부족으로 방사(房事)를 못하게 되고 여자는 생식이 끊어진다. 《고사촬요》
눈이 붉은 산 물고기를 회 치면 안 된다. 《고사촬요》
눈 감은 물고기를 먹으면 안 된다. 《고사촬요》
자라 눈이 옴폭 들어간 것은 먹으면 안 된다. 《고사촬요》
머리카락이 든 생선 젓[魚鮓]을 먹으면 사람이 죽는다. 《고사촬요》
붕어를 맥문동(麥門冬)과 같이 먹으면 사람이 죽는다. 《고사촬요》
날 생선과 우유나 신 것을 같이 먹으면 안 된다. 《증류본초》
황상어(黃顙魚 메기 종류)와 형개(荊芥)를 같이 먹으면 사람이 죽는다. 《증류본초》
조갯살을 초와 같이 먹으면 안 된다. 《증류본초》
새나 짐승 고기를 먹을 때의 금기[食鳥獸忌]는, 소ㆍ양ㆍ돼지 고기는 모두 닥나무ㆍ뽕나무로 구워 먹어서는 안 되니, 먹으면 뱃속에 벌레가 생긴다. 《고사촬요》
육축(六畜 집에서 기르는 소ㆍ말ㆍ양ㆍ돼지ㆍ닭ㆍ개)이 저절로 죽은 것은 모두 병들어 죽은 것이니 먹어서는 안 된다. 《고사촬요》
제풀에 죽은 새나 짐승이 입을 벌리고 있는 것은 먹어서는 안 된다. 《고사촬요》
짐승이 제풀에 죽어 머리를 북으로 둔 것과 땅에 엎어진 것을 먹으면 사람이 죽는다. 《고사촬요》
고기(肉)와 간(肝)이 땅에 떨어져도 흙이 묻지 않는 것은 먹으면 안 된다. 《고사촬요》
고기를 말려도 마르지 않는 것은 먹으면 사람이 죽는다. 《고사촬요》
물에 뜨는 돼지고기는 먹으면 안 된다. 《고사촬요》
고기에 진주 같은 반점이 있는 것은 먹으면 안 된다. 《고사촬요》
고질(痼疾)이 있는 이는 곰고기를 먹으면 안되니, 평생 낫지 않는다. 《고사촬요》
푸른 색이 나는 모든 새고기 간을 먹으면 죽는다. 《고사촬요》
닭이나 들새가 발을 오그리고 죽은 것을 먹으면 사람이 죽는다. 《고사촬요》
발이 흰 오계(烏鷄)를 먹으면 안 된다. 《고사촬요》
쇠고기와 돼지고기를 같이 먹으면 촌백충(寸白蟲)이 생긴다. 《고사촬요》
쇠고기하고 막걸리[白酒]를 같이 먹으면 촌백충이 생긴다. 《고사촬요》
살진 고기와 뜨거운 국을 먹고 나서 냉수를 마시면 안 된다. 《고사촬요》
흰 개의 고기를 날 파와 같이 먹으면 구규(九竅 몸에 있는 9개의 구멍)에서 피를 쏟는다. 《고사촬요》
우유와 생선ㆍ신 것을 같이 먹으면 뱃속에 적병(積病)이 뭉친다. 또 대개 우유 제품은 다 신 것하고 같이 먹으면 못쓴다. 《증류본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