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창시절 멘델이 실험에 이용한 식물로 알고 있는 콩과 식물인 완두는 이르게 봄보리를 심을 적에 심는다 하여 '보리 콩'이라고 부른다.
그 완두콩꽃이 남도지방에는 잎겨드랑이에서 꽃대가 나와 때깔 고운 꽃잎이 활짝 치마폭을 들추며 바람에 흔들이고 있다.
완두는 콩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로서 중앙아시아에서 지중해 연안에 걸친 지대가 원산지이며 작물 중에서 제일 역사가 오래되었다. 아시아 특히 중국에 많으며 미국에서도 재배되고 있다.
1년생 또는 난지에서 가을에 파종하여 월동후 재배되는 덩굴성 식물로 일명 잠두(蠶豆)라고도 한다. 빛깔은 푸르러 녹두와 비슷하지만 크다. 완두는 2~3월에 파종한다.
여러 가지 콩류 중에서 완두는 추위에 가장 강하고, 또 수확량이 많고 여무는 시기도 이르다. 대개 한 해 중에서 가장 먼저 여무는 작물이다.
남부 지방에서는 10~11월에 파종하여 다음해 4~6월에 수확하거나 9월에 파종하여 12월에 거둬들이는 이모작도 한다.

보통 1-2화이고 엽액에서 발생된 꽃자루의 끝에 착생된다. 꽃색깔은 백색 또는 적자색이다.
완두는 채소용으로 이용되는 것은 연협종과 경협종이 있으며 경협종은 꼬투리를 이용하는 것이며 경협종은 미숙된 녹색의 콩을 이용한다. 완두는 꼬투리 째 먹는 방법과 열매를 까서 먹는 방법이 있는데 꼬투리 째 먹는 것이 좋다.
특산식품인 콩으로 대체로 50cm정도의 크기를 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삼국시대 초기부터 재배되어온 우리민족 고유의 식품으로 항암작용과 동맥경화를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식이섬유소가 많아 포만감을 주며 비만인 사람들에게 효과적인 식품이기도 하다.
효능으로는 종자는 시스틴, 리진, 아르기닌이라는 중요한 아미노산을 함유한 단백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어린과실(꼬투리째 먹는 청대 완두)의 꽁까지에는 비타민이 많기 때문에 영양유지에 빠뜨릴 수 없는 계절의 야채이다.
이뇨작용을 도와주므로 몸이 붓거나 소변보기가 어려울 때 완두를 먹으면 효과적이다.
풋 완두의 꼬투리에는 베타카로틴과 비타민a, c등이 있다. 췌장의 상태을 바로 잡을 뿐 아니라 당뇨병으로 인해 목이 타는 증세에 좋다.
또한 부드럽게 익혀서 먹으면 위장이 약하고 구역질이 나는 사람에게도 좋다.
참고문헌 =원예연구소, 2004. 숨어있는 채소·과일의 매력
뇌 기능을 증진시켜 주는 것으로 알려진 콜린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완두, 콩의 모양이 두드러지지 않으면서 탄력이 있고 짙은 녹색을 띠는 것이 좋다.
오래 보관해두고 먹을 때는 꼭지를 따지 않은 상태로 비닐 봉지에 담아 냉장고에 넣어 보관하고 끓는 물에 데칠 경우 비타민 손실을 줄이려면 소금을 약간 넣고 재빨리 건져내야 한다고 전문가들이 조언하고 있다.

산림경제 제1권 / 치농(治農)편에 콩은 대두(大豆)ㆍ팥을 소두(小豆)ㆍ녹두(菉豆)ㆍ동부[藊豆] 완두(豌豆) 원두로 불렀다. 콩에 대해 이렇게 적고 있다.
검정콩[黑太] : 깍지는 붉고 열매는 검으며, 크기가 개암[榛子]만하다. 기름진 땅이 좋은데, 5월에 심는다.
잘외콩[者乙外太] 쟐외콩 : 깍지는 누르고 열매는 검으며, 크기는 쥐눈만하다. 기름지고 습한 땅이 좋은데, 3~4월에 심으며 9월에 익는다.
왁대콩[臥叱多太] 왁대콩 : 깍지는 검푸른 빛이고 열매는 검붉으며, 크기는 개암만하다. 척박한 땅에도 좋고, 심는 계절은 위의 것과 같다. 청태(靑太) 때에 가장 연하다.
불콩[火太] 불콩 : 깍지가 약간 희고 열매는 짙붉으며 껍질이 얇다. 크기가 매실[梅子]만하며 연하다. 보리 심었던 데에 심는데, 9월[季秋]에야 비로소 익는다.
누렁콩[黃太] : 깍지는 연한 흰색이나 연한 황색이며, 열매는 약간 누르다. 크기가 개암만하다. 보리 심었던 데에 심는데 8월 그믐에 익는다.
온되콩[百升太] 온되콩 : 껍질과 털은 회색(灰色)이고 열매는 누르며, 크기는 쥐눈만하다.
오해파지콩[吾海波知太] 오파지콩 : 깍지가 희고 열매는 희불그레하며, 크기는 매실만하다. 보리 심었던 땅에 심는데 8월에 익는다.
유월콩[六月太] : 껍질도 희고 열매도 희며, 크기가 동배(東背 팥 이름)만하다. 3월에 심는다.
봄갈이팥[春小豆] 봄가리 : 깍지가 희고 열매는 붉으며 눈이 희다. 크기는 앵두만하다. 기장이나 조 밭에 섞어서 심는데, 8월에 익는다.
근소두[根小豆] : 깍지가 희고 열매는 짙붉으며 눈이 희다. 크기가 앵두만하다. 보리 심었던 땅에 심는데, 8월에 익는다.
올팥[早小豆] 올 : 깍지가 검고 열매는 붉으며 눈이 약간 검다. 크기가 앵두만하다. 기장이나 조 밭에 섞어 심는데, 7월에 익는다.
산다리팥[山達伊小豆] : 깍지와 열매가 희며 눈도 희다. 크기가 삼[麻]씨만하다. 보리 심었던 땅에 심는데, 8월에 익는다.
저배부채팥[渚排夫蔡小豆] 져부 : 산다리팥과 같은데 조금 크다.
잉동팥[伊應同小豆] 잉동 : 깍지가 희고 열매가 절반은 희고 절반은 검으며 눈이 희다. 줄기는 약간 검붉다. 3~4월에 심는다.
검정팥[黑小豆] : 깍지가 희고 열매는 검으며 눈이 희다. 크기가 앵두만하다. 서속 밭에 섞어서 심는다.
녹두(菉豆) : 깍지가 검고 열매는 푸르다. 기름진 땅에, 5월에 심는다.
몰의녹두(沒衣菉豆) 몰의녹두 : 깍지는 회색(灰色), 열매는 약간 누르다. 기름진 데나 척박한 데에 다 좋다. 5월에 심는다.
동부[藊豆] 동 : 깍지가 길고 약간 흰데 깍지마다 열매가 10알씩이다. 줄기는 푸르다. 익으면 약간 희어지며 눈이 붉다. 척박한 데에 좋고, 2~3월에 심는데 8월에 익는다.
광장두(光將豆) : 열매가 붉고 눈이 희다. 이상은《금양잡록》
완두(豌豆) 원두. 일명 잠두(蠶豆). : 빛깔이 푸르고, 녹두와 같으며 조금 크다.
검정팥을 심을 적에는 3월에 땅을 잘 갈아 바닥을 써리고는, 손에 콩을 반 줌씩 쥐고 한 걸음을 갈 적마다 한 번씩 떨어뜨린다. 싹이 왕성해지면 곧 매어주되 풀을 말끔하게 뽑고 이랑을 만든다. 4월에 심어도 된다. 《신은지》
녹두는 척박한 땅이나 묵밭에도 모두 심을 수 있는데, 드물게 심고 한 번 매가꾼다. 흩뿌림[撒種]을 해도 된다. 《농사직설》
6월에 삼[麻]을 베어낸 자리에다 심는데, 너무 일찍 심으면 꼬투리가 생기지 않는다. 《신은지》
4월에 심었다가 6월에 열매를 거두고서 다시 심고, 8월에 또 열매를 거두어, 1년에 두 차례 익는다. 《한정록》
동부[藊豆] 시골에서는 동배(東背)라고 한다. 는 5월 무렵에 척박한 밭에 심었다가 한 차례 매주고서 익는 대로 딴다. 《농사직설》
완두(豌豆) 시골에서는 원두라 하고, 일명 잠두(蠶豆)이다. 모든 콩 중에 완두가 가장 오래 저장할 수 있고, 수확이 많으며, 빨리 성숙한다. 《신은지》
완두는 8월 무렵에 익는데, 더러는 깨[麻]와 섞어 심었다가 같이 거둔다. 《한정록》
진임(眞荏 참깨), 흑임(黑荏 검은깨), 수임(水荏 들깨), 진말(眞末 밀가루), 목말(木末 메밀가루), 녹말(菉末 녹두가루), 대조(大棗 대추), 생리(生梨 배), 감자(柑子 감귤), 황률(黃栗 황밤), 은행(銀杏), 산사(山査 아가위), 둘죽(㐙粥 들쭉), 오미자(五味子), 모과(木瓜), 산약(山藥), 치자(梔子), 송화(松花), 진자(榛子 개암), 포도(葡萄), 길경(吉更 도라지), 고비(高非), 고사리(古沙里), 청과(靑瓜 오이), 개자(芥子), 생강(生薑), 표고(蔈古), 석이(石茸), 건반(乾飯), 세건반(細乾飯), 개아(芥芽), 산(蒜 마늘), 천초(川椒 초피나무 껍질), 송이(松茸), 죽순(竹笋), 강순(薑笋 생강순), 고돌박(古乭朴 고들빼기), 낭이(郞伊 냉이), 목숙(苜蓿 개자리), 토련(土蓮 토란), 녹두채(菉豆菜 숙주나물), 청근순(菁根笋 무순), 태아(太芽 콩나물), 신감채(辛甘菜 승검초), 연근(蓮根), 동과(冬瓜 동아), 건강말(乾薑末 말린 생강 가루), 전약(煎藥), 백당(白糖), 계피(桂皮), 당귀엽(當歸葉), 향소(香蔬 참취), 산개(山芥), 강분(薑粉 생강가루), 청포(靑泡 청포묵), 태포(太泡 두부), 고초장(苦椒醬 고추장), 청국장(靑局醬), 진초(眞醋 식초), 백면(白糆 메밀국수)
사진=오인교